맨위로가기

가셔브룸 1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셔브룸 1봉은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카라코람 산맥의 산으로, 8,080m의 높이를 자랑한다. 1958년 미국 원정대가 남동릉을 통해 초등에 성공했으며, 이후 다양한 루트를 통한 등반이 이루어졌다. 1975년 라인홀트 메스너와 페터 하벨러가 북서 루트를 알파인 스타일로 등반했고, 1982년에는 여성 최초 등정 및 스키 하강 기록이 세워졌다. 1984년에는 가셔브룸 2봉과 횡단하는 데 성공했으며, 1986년 일본 등반대가 북면 신 루트를 개척하여 표준 루트로 자리 잡았다. 2012년에는 동계 초등이 이루어졌고, 2017년에는 체코 등반대가 남서벽에 새로운 루트를 개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코람산맥의 8000미터 봉우리 - K2
    K2는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험준한 지형과 기후로 등반이 매우 어렵고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무자비한 산"이라고 불리지만, 다양한 등반 시도와 함께 새로운 기록이 세워지고 있으며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산이다.
  • 카라코람산맥의 8000미터 봉우리 - 가셔브룸 2봉
    가셔브룸 2봉은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8,034m 높이의 산으로, 카라코람산맥의 일부이자 가셔브룸 산군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며, 1956년 오스트리아 등반대에 의해 초등된 이후 다양한 등반 방식으로 도전받고 있다.
  • 중국-파키스탄 국경 - K2
    K2는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험준한 지형과 기후로 등반이 매우 어렵고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무자비한 산"이라고 불리지만, 다양한 등반 시도와 함께 새로운 기록이 세워지고 있으며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산이다.
  • 중국-파키스탄 국경 - 가셔브룸 2봉
    가셔브룸 2봉은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8,034m 높이의 산으로, 카라코람산맥의 일부이자 가셔브룸 산군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며, 1956년 오스트리아 등반대에 의해 초등된 이후 다양한 등반 방식으로 도전받고 있다.
  • 신장의 산 - 포베다산
    포베다산은 톈산산맥에 위치한 해발 7,439m의 산으로, 키르기스스탄과 중국의 경계에 있으며, 톈산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위 39도 이북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1956년 소련 등반대가 첫 등정에 성공했다.
  • 신장의 산 - K2
    K2는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험준한 지형과 기후로 등반이 매우 어렵고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무자비한 산"이라고 불리지만, 다양한 등반 시도와 함께 새로운 기록이 세워지고 있으며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산이다.
가셔브룸 1봉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히든 피크
별칭K5
높이8080 m
순위11위
돌출 높이2155 m
위치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의 국경
산맥카라코람 산맥
티베트어 이름རྒ་ཥཱ་བྲུམ་། - ༡ (rgasha brum - 1, 아름다운 산 - 1)
우르두어 이름گاشر برم - ۱
중국어 이름加舒尔布鲁木I峰 (Jiāshūěrbùlǔmù I Fēng)
등반 정보
첫 등반1958년 7월 5일, 미국 팀 (파키스탄 육군 장교 2명 포함)
첫 겨울 등반2012년 3월 9일, 아담 비엘레키와 야누슈 고웜프
쉬운 등반 경로눈/얼음 등반
이미지
2001년의 가셔브룸 I
2001년의 가셔브룸 I

2. 등반 역사

1934년부터 2017년까지 가셔브룸 1봉 등반 역사는 여러 국가 등반가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도국가등반가등반 방식 및 루트비고
1934년G.O. 디렌푸르트 (국제 원정대)탐사6300m 도달
1936년프랑스 원정대6900m 도달
1958년니컬러스 클린치 (대장), 앤드루 존 코프먼, 피트 쇼닝남동릉초등[3]
1975년라인홀트 메스너, 페터 하벨러북서 루트, 알파인 스타일8,000m봉 최초 알파인 스타일 등정, 무산소 등정[3]
1977년Nejc Zaplotnik|네이츠 자플로트니크sl, 안드레이 스트렘펠새 루트드라고 브레가르 사망[3]
1980년모리스 바라르, 조르주 나르보남쪽 능선
1981년시모토리 코조 (대장), 후지츠 야스오 등 3명클린치 루트, 고정 로프 설치일본 최초 등정[3]
1982년미하엘 다허, 지크프리트 후프아우어, 귄터 슈투름북벽 새 루트
1982년마리-조제 발랑상여성 최초 등정
1982년실뱅 소단8,000m 봉우리 최초 스키 하강
1983년예지 쿠쿠츠카, 보이치에흐 쿠르티카새 루트, 알파인 스타일, 무산소
1984년라인홀트 메스너, 한스 카머란더가셔브룸 2봉 횡단
1985년브누아 샤무단독 등반
1985년잠피에로 디 페데리코북서벽 새 루트, 단독 등반[4]
1986년시미즈 오사무, 와쿠츠 키요시북면 신 루트 (재패니즈 쿠르와르)표준 루트
1996년교토 클라이머스 클럽 등무산소 등정한국 원정대 구조
2012년아담 비엘레츠키, Janusz Gołąb|야누슈 고워브pl동계 초등, 무산소 등정


2. 1. 초기 탐사 및 시도 (1934년 ~ 1957년)

1934년, 스위스 출신 G.O. 디렌푸르트가 조직한 대규모 국제 원정대가 가셔브룸 1봉과 가셔브룸 2봉을 탐사했으나, 두 명의 등반가가 6300m까지 도달하는 데 그쳤다. 1936년, 프랑스 원정대는 6900m까지 도달했다.

2. 2. 초등정 및 주요 등정 (1958년 ~ 1985년)

1958년 7월 5일 니컬러스 클린치가 이끄는 미국 원정대가 남동릉(Southeast Ridge)을 통해 가셔브룸 1봉 초등에 성공했다. 앤드루 존 코프먼과 피트 쇼닝이 정상에 올랐다.[3]

1975년 라인홀트 메스너와 페터 하벨러가 북서 루트(Northwest Route)를 통해 무산소 및 알파인 스타일로 등정했다. 이는 8,000m급 봉우리 등반 역사에 새로운 지평을 연 사건으로 평가받는다.[3]

1977년 슬로베니아 등반대가 새로운 루트로 네 번째 등정에 성공했으나, 팀원 드라고 브레가르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3]

1980년 프랑스 등반대가 남쪽 능선(South Ridge)을 통해 등정했다.

1981년 8월 3일 일본 등반대(시모토리 코조 대장, 후지츠 야스오 등 3명)가 클린치 루트를 따라 고정 로프를 설치하며 등정에 성공하여, 일본인 최초 등정 기록을 세웠다.[3]

1982년 독일 원정대가 북벽(North Face)의 새로운 루트를 통해 등정했고, 프랑스의 마리-조제 발랑상이 여성 최초로 정상에 올랐다. 스위스의 실뱅 소단은 8,000m 봉우리 정상에서 베이스 캠프까지 최초로 스키 하강을 기록했다.

1983년 예지 쿠쿠츠카와 보이치에흐 쿠르티카가 무산소 알파인 스타일로 새로운 루트를 개척했다.

1984년 라인홀트 메스너와 한스 카머란더가 가셔브룸 2봉과 가셔브룸 1봉을 연속 횡단하는 데 성공했다.

1985년 브누아 샤무가 단독 등반에 성공했고, 이탈리아의 잠피에로 디 페데리코가 북서벽에 새로운 루트를 개척했다.[4]

2. 3. 일본 등반대의 활약 (1986년 ~ 1996년)

1986년 8월 2일 일본 원정대의 시미즈 오사무와 와쿠츠 키요시가 북면 신 루트로 등정하였다. 이 루트는 이후 재패니즈 쿠르와르(Japanese Couloir)라고 불리며 가셔브룸 1봉 정상으로 가는 표준 루트가 되었다.[3]

1996년 여름, 교토 클라이머스 클럽 소속 3명 등 일본 등반대가 산소통 없이 등정에 성공했다. 이들은 하산 도중 조난당한 대한민국 원정대를 구조하기도 했다.[3]

2. 4. 최근 등반 (1997년 ~ 현재)

1997년 마그누스 뤼덴과 요한 오케르스트룀이 정상에 도달했다.[4] 2003년에는 19명이 정상에 도달했으나, 모하마드 오라즈를 포함하여 4명이 사망했다.

2012년 3월 9일, 폴란드의 아담 비엘레츠키와 Janusz Gołąb|야누슈 고워브pl가 보조 산소 없이 동계 초등에 성공했다. 같은 날, 다른 원정대의 오스트리아인 게르프리드 굘슐, 스위스인 세드릭 헬렌, 파키스탄인 니사르 후세인 사드파라 등 3명이 실종되었고, 다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은 새로운 루트를 통해 등반하려 했으며 강풍에 휩쓸려 간 것으로 추정된다.

2013년 7월 7일, 아르투르 하이저는 정상 등반 시도 후 일본 쿠르와르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5] 같은 해 7월 21일, 스페인인 아벨 알론소, 제비 고메즈, 알바로 파레데스가 정상에 올랐지만 폭풍 후 하산 중 실종되었다.[6]

2017년 7월 30일, 체코인 마레크 '마라' 홀레체크와 즈데네크 하크는 보조 산소 없이 6일간의 알파인 스타일 등반으로 남서벽에 새로운 루트를 개척했으며, 이 루트는 즈데네크 흐루비를 기리기 위해 '만족'으로 명명되었다.[7]

3. 참고 문헌


  • H. 아담스 카터, 〈카라코람의 발티 지명〉, 《아메리카 알파인 저널》, 1975, 49권, 53쪽.
  • 니컬러스 클린치, 《하늘을 걷다: 히든 피크 등반기》, 마운티니어스, 1982년 12월, ISBN 0-89886-042-3.
  • 앤디 팬쇼, 스티븐 베너블스, 《히말라야 알프스 스타일: 가장 어려운 최고봉 등반 루트》, 마운티니어스 북스, 1996년 3월, ISBN 0-34064-931-3.

참조

[1] 간행물 Gasherbrum I (8,086m), First Winter Ascent http://publications.[...] 2012
[2] 간행물 The Polish Gasherbrum I Winter Expedition https://www.alpinejo[...] 2013
[3] 서적 A Walk in the Sky: Climbing Hidden Peak The Mountaineers 1982
[4] 문서 Fanshawe & Venables "Himalaya alpine-style"
[5] 웹사이트 Iconic Polish Climber Artur Hajzer Dies on Gasherbrum I http://www.alpinist.[...] 2013-07-16
[6] 웹사이트 Se da por desaparecidos a Xevi Góméz, Álvaro Paredes y Abel Alonso en el G1 http://www.desnivel.[...] 2013-07-26
[7] 웹사이트 Gasherbrum I SW Face, big new route by Marek Holeček and Zdeněk Hák http://www.planetmou[...] 2017-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